-No Video-
본문 : 마태복음 18:21~35
(21)그 때에 베드로가 나아와 가로되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번까지 하오리이까 (22)예수께서 가라사대 네게 이르노니 일곱번 뿐 아니라 일흔번씩 일곱번이라도 할찌니라 (23)이러므로 천국은 그 종들과
회계하려 하던 어떤 임금과 같으니 (24)회계할 때에 일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데려오매 (25)갚을 것이 없는지라 주인이 명하여 그 몸과
처와 자식들과 모든 소유를 다 팔아 갚게 하라 한대 (26)
그 종이 엎드리어 절하며 가로되 내게 참으소서 다 갚으리이다 하거늘
(27)그 종의 주인이 불쌍히 여겨 놓아 보내며 그 빚을 탕감하여 주었더니 (28)그 종이 나가서 제게 백 데나리온 빚진 동관 하나를 만나
붙들어 목을 잡고 가로되 빚을 갚으라 하매 (29)그 동관이 엎드리어 간구하여 가로되 나를 참아 주소서 갚으리이다 하되 (30)허락하지 아니하고
이에 가서 저가 빚을 갚도록 옥에 가두거늘 (31)그 동관들이 그것을 보고 심히 민망하여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다 고하니 (32)이에 주인이
저를 불러다가 말하되 악한 종아 네가 빌기에 내가 네 빚을 전부 탕감하여 주었거늘 (33)내가 너를 불쌍히 여김과 같이 너도 네 동관을 불쌍히
여김이 마땅치 아니하냐 하고 (34)주인이 노하여 그 빚을 다 갚도록 저를 옥졸들에게 붙이니라 (35)너희가 각각 중심으로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내 천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
마태복음 6장 9절 이하에서 '주님 가르치신 기도문'의 다섯 번째
간구는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 우리의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입니다. 그러면 그리스도인은 무조건 모든 것을 용서해야
한다는 말씀입니까? 하나님께 죄 짓는 자도 용서해 주어야 한다는 뜻입니까?
헬라어 원문에서 보면, '죄 지은 자'는 '빚을 진
자'라는 뜻이고, '사하다'는 '버려두다, 상관치 않고 두다, 탕감하여 주다'라는 뜻입니다. 오늘 본문에서도 예수님은 '죄'와 '빚'을
동일시하여 비유의 말씀 주시고 있는데, 주인으로부터 탕감 받은 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 종은 주인에게 빚을 지고 있다가 완전히 탕감 받았는데
그것이 그만 취소되어 버렸습니다. 그리스도인도 이렇게 하나님의 은혜를 잃어버리게 될 수 있을까요?
1. 그 종은 왜 탕감 받았던
은혜를 잃어버렸습니까?
26절에 의하면, 그 종은 자기 빚(죄)을 알고 있었고, 갚을 마음도 있었으며, 주인의 은혜를 바랬습니다.
주인이신 하나님의 자비하심으로 탕감받을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다 갖추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분명하게 탕감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의 실수로
인하여 그 은혜를 완전히 잃어버렸습니다. 자기에게 빚을 진 100데나리온 빚 받으려다가 그렇게 된 것입니다.(28절)
당시 화폐
단위로 볼 때, 1달란트는 6,000데나리온에 해당하고, 1데나리온은 노동자 또는 군인의 1일 임금에 해당합니다. 그러므로 1만 달란트는
6,000만 데나리온인데, 오늘날 미국 돈으로 어림잡아 계산하면 약 $60억에 해당합니다.(일당 $100) 그러므로 그 종은
100데나리온($1만)의 빚을 받아내려다가 $60억을 날려버린 어리석은 사람이 되었던 것입니다.
이솝우화에 '어리석은 강아지'
이야기가 있습니다. 강아지 한 마리가 운 좋게도 큰 고기 덩어리를 얻게 되었습니다. 입에 물고 가다가 시냇물을 건너게 되었는데, 물 속에 커다란
고기 덩어리를 물고 가는 강아지가 보였습니다. 그 강아지는 그 고기 덩어리를 빼앗으려고 으르렁 거리다가 큰 소리로 컹컹 짖어댔습니다. 물에 비친
강아지 입에는 아무 것도 없었습니다.
그 종이 받았던 은혜를 잃어버리게 된 원인은 첫째로, 자신에게 관대하고 남에게는 엄격하거나 또는
잔인하였기 때문입니다.(29절) 둘째로, 그 종은 자신이 받은 은혜를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30절) 셋째로, 그는
자기 뜻대로 행동하였기 때문입니다.(30절)
하나님의 법칙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이기 때문에, 은혜를 베풀지 않는 그에게 은혜를
베푸실 수 없는 것입니다.(32-35절) <시편 18:25-26 "자비한 자에게는 주의 자비하심을 나타내시며 완전한 자에게는 주의
완전하심을 보이시며 깨끗한 자에게는 주의 깨끗하심을 보이시며 사특한 자에게는 주의 거스리심을 보이시리니">
2. 주님께서
"너희는 어떤 그리스도인이냐?"고 물으십니다.
그리스도인은 예수님의 십자가를 믿음으로써 은혜로 죄사함과 칭의를 받은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만일 그 이후의 삶 속에서 자신에게 관대하고 남에게 엄격하거나 잔인하면, 받았던 죄사함의 은혜를 빼앗길 죄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신이
받은 은혜를 남에게 나누어 주지 않는다면 죄사함의 은혜를 빼앗길 죄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뜻을 무시하면서 자기 뜻대로 행동하면
그 역시 죄사함의 은혜를 빼앗길 죄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미 받은 은혜를 뺏기지 않을 자신이 있습니까? 아마 장담할 수
있는 그리스도인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3. "그러므로 너희는 기도해야 한다."고 주님이 가르쳐 주신 것입니다.
모든
그리스도인은 첫째로, 나의 죄(빚)의 심각성과 하나님의 용서의 한량없는 은혜를 날마다 깨닫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둘째로,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만큼 나눔으로써 그 은혜를 빼앗기지 않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셋째로, 입으로만 아니라 마음으로 온전히 실천할 수 있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어느 일간지에 '천사가 된 청송의 장발장'이라는 제목으로 기사가 실린 적이 있습니다: 인천 화수동의 민들레 국수집에 발신지가
청송교도소로 찍힌 등기우편 한 통이 날아왔습니다. 청송교도소에서 16년째 복역 중인 박모씨(45·세례명 꼴베)가 가장 최근에 부쳐온 편지입니다.
“노숙자들은 배를 곯으면 다른 마음을 먹고 범죄에 빠지기 쉽습니다. 얼마 안 되지만 내가 보낸 돈으로 그들이 밥 한 끼라도 제대로 먹어 나쁜
생각을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라는 내용과 함께 10만원짜리 우편환이 들어 있었습니다.
종이 쇼핑가방을 만드는 제8작업장 반장인
박씨의 작업수당은 월 7만원 정도인데, 2003년 4월 민들레 국수집이 문을 연 이후 지금까지 박씨가 보내온 돈은 모두 1백20만원이 넘었다고
합니다. 교도소 안에 있는 작업장에서 일해 번 것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은 돈이었습니다.
박씨가 민들레 국수집 후원자가 된 것은
11년 전 당시 천주교 수사였던 서영남씨(52)를 알게 돼 꾸준히 서신을 주고받아온 게 인연이 되었습니다. 서씨가 노숙자들을 위한 무료식당인
민들레 국수집을 열자 그는 푼푼이 모아둔 돈을 보내기 시작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1990년 인천에서 건달로 지내던 그는 어느 날
밤 연안부두에서 동료들과 강도에 가담하고 말았습니다. 잡다한 전과가 많았던 박씨는 ‘징역 20년6월 보호감호 7년’이라는 중형을 선고받았습니다.
교도소에 들어가기 전, 아들이 평소 즐겨 먹던 삶은 꽃게를 손에 쥐어주고 눈물만 흘리며 “어떡하든 건강하게 살아서만 나오라”는 어머니의 말이
유일한 의지가 되었습니다.
아들 때문에 심장병을 얻은 어머니는 불편한 몸을 이끌고 인천에서 청송까지 몇 달에 한 번씩 면회를
왔습니다. 박씨는 그때서야 비로소 어머니의 깊은 사랑을 깨달았습니다. 그러나 어머니는 자식의 석방을 끝내 보지 못하고 2002년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민들레 국수집은 어버이날마다 박씨의 어머니를 모셔다 식사를 대접하고 아들을 대신해 카네이션도 달아드렸습니다. 어머니의
임종을 지킨 사람도 민들레 국수집 서씨였습니다. 그 마음의 빚 때문에 박씨는 민들레 국수집에서 공짜로 밥을 먹는 어른들을 모두 ‘어머니’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2011년 3월이면 박씨는 청송교도소를 출소합니다. 출소 후 계획을 묻자, “민들레 국수집에 가서, 곁에서 일을
돕고 싶습니다.” 작은 노점상을 하면서 생활 벌이를 하고, 민들레 국수집 운영비에 보태겠다는 게 그의 소망이었다고 합니다.
그가
어머니 은혜가 얼마나 컸는지, 하나님 은혜가 얼마나 컸는지 진심으로 깨닫고 나니 그 은혜를 다른 사람들과 나눌 수밖에 없는 사람으로 변화되었던
것입니다. '천사가 된 청송의 장발장'의 제목이 잘 어울립니다.
성도 여러분, 모든 그리스도인은 용서받은 죄인임을 잊지 맙시다.
하나님 아버지로부터 받은 만큼 나누어 주는 그리스도인이 됩시다. 그리하여 이미 받은 은혜를 빼앗기는 실수를 하지 않는 지혜로운 그리스도인이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할렐루야!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