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마태복음 25:14~30
(14)또 어떤 사람이 타국에 갈제 그 종들을 불러 자기 소유를 맡김과 같으니 (15)각각 그 재능대로 하나에게는 금 다섯 달란트를, 하나에게는 두 달란트를, 하나에게는 한 달란트를 주고 떠났더니 (16)다섯 달란트 받은 자는 바로 가서 그것으로 장사하여 또 다섯 달란트를 남기고 (17)두 달란트 받은 자도 그같이 하여 또 두 달란트를 남겼으되 (18)한 달란트 받은 자는 가서 땅을 파고 그 주인의 돈을 감추어 두었더니 (19)오랜 후에 그 종들의 주인이 돌아와 저희와 회계할쌔 (20)다섯 달란트 받았던 자는 다섯 달란트를 더 가지고 와서 가로되 주여 내게 다섯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다섯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21)그 주인이 이르되 잘 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작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으로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예할찌어다 하고 (22)두 달란트 받았던 자도 와서 가로되 주여 내게 두 달란트를 주셨는데 보소서 내가 또 두 달란트를 남겼나이다 (23)그 주인이 이르되 잘 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작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으로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예할찌어다 하고 (24)한 달란트 받았던 자도 와서 가로되 주여 당신은 굳은 사람이라 심지 않은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데서 모으는 줄을 내가 알았으므로 (25)두려워하여 나가서 당신의 달란트를 땅에 감추어 두었었나이다 보소서 당신의 것을 받으셨나이다 (26)그 주인이 대답하여 가로되 악하고 게으른 종아 나는 심지 않은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데서 모으는 줄로 네가 알았느냐 (27)그러면 네가 마땅히 내 돈을 취리하는 자들에게나 두었다가 나로 돌아 와서 내 본전과 변리를 받게 할 것이니라 하고 (28)그에게서 그 한 달란트를 빼앗아 열 달란트 가진 자에게 주어라 (29)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30)이 무익한 종을 바깥 어두운데로 내어쫓으라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갊이 있으리라 하니라
인간은 속마음과 겉모습이 비슷할 때 진정한 자유로움을 느낍니다. 두 가지가 너무 다르게 되면 큰 문제가 발생되게 마련입니다.
여러 해 전에 ‘6인의 영웅’이라는 다큐멘터리가 TV에서 방영된 적이 있었습니다. Washington DC에 가면 ‘성조기를 세우는 6인의 해병’ 조각이 전시되어 있는데, 그 6명들의 실제 삶을 추적하여 극으로 꾸민 것이었습니다.
2차대전이 끝나갈 무렵인 1945년에, 일본군이 주둔하고 있는 IwoJima(유황도)라는 섬을 미국의 제5 해병사단이 포위 공격하였습니다. 약 3만 명의 병사들과, 880척의 상륙함이 투입되었으며, 미군 병사 6,800명이 전사하고 18,000명이 부상을 입는 치열한 싸움이었다고 합니다. 일본군의 저항이 너무나 강하였기 때문에 미군은 8번째 공격에서 겨우 승리할 수 있었고, 이것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해병대의 8각 모자가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전투가 끝난 후 며칠 뒤에, 후방에서 안전하게 지내던 다른 군인들이 그 지역에 배치되었고, 전투에서의 승리를 축하하면서 거대한 성조기를 세우게 되었는데, 그 모습을 AP통신 기자인 Joe Rorental이 사진을 찍어 ‘Life' 잡지에 실었습니다. 6명의 병사들은 전체 미국인들에게 영웅이 되었고, 고향에 돌아간 후에는 신문과 방송을 통해 아주 유명한 사람들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6명의 해병들은 자신들이 전혀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음을 너무나 잘 알았기 때문에, 그러한 영웅 대접을 받는 것이 한편으로는 두려웠고 거북하였습니다. 그들은 술과 노름으로 괴로움을 달래보고자 하였습니다. 나중에는 그 6명이 전투에 전혀 참여하지 않은, 후방에 있던 군인들이었음이 알려지게 되었고, 온 신문과 방송들이 그들을 비난하였습니다. 그들은 결국 모두 알콜 중독자가 되었고, 몇 명은 끝내 자살하고 말았다고 합니다. 겉으로 거짓되게 꾸며진 결과로 만들어진 비극이었습니다.
천국을 바라보며 이 땅에서 살아가는 신앙생활도 마찬가지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겉모습으로는 거룩한 그리스도인인 것 같은데, 마음 속에 짜증과 분노와 미움 그리고 슬픔이 가득 들어차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신앙생활 잘 하던 성도에게도 때로는 그런 마음이 들어올 때가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즐겁고 기쁘게 신앙생활 할 수는 없을까요?
오늘 본문 말씀은 예수님이 천국을 설명하신 여러 비유들 중 하나입니다. 어떤 주인이 다른 나라로 여행을 하면서, 자신의 소유를 종들의 재능에 따라 5달란트, 2달란트, 1달란트로 다르게 나누어주었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른 후에 돌아와 계산을 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오늘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그 결과에 따라 종들이 두 부류로 나뉘었다는 사실입니다.
I. 하나는 ‘주인의 즐거움에 참예하는 자’이고, 다른 하나는 ‘슬피 울며 이를 가는 자’입니다.
다섯 달란트와 두 달란트를 주인으로부터 받아서, 장사하여, 또 다른 다섯 달란트와 두 달란트를 남긴 종들은 칭찬을 받았고, 한 달란트 받았던 종의 것까지 더 받게 되었으며, 주인의 즐거움에 참예하게 되었습니다.
반면에, 한 달란트를 주인으로부터 받은 후 감추어 두었다가 본전만 주인에게 돌려주면서 핑계를 대었던 종은 꾸중을 들었고, 맡았던 것까지 빼앗겼으며, 어두운 곳으로 내어쫓기고 슬피 울며 이를 갈게 되었습니다.
이 두 가지 부류는, 우리 성도들 중에는 똑같이 신앙생활을 하면서, 즐겁게 신앙생활 하는 자가 있는 반면에, 슬피 울고 이를 갈며 신앙 생활 하는 자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II. 인간들이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평가 기준은
‘큰 일을 하거나 많은 일을 행하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천국에 들어가는 기준에도 이러한 생각을 똑같이 적용하려고 합니다. 그러므로 스스로 죄인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하나님 앞에 큰 일을 한 것도 없고 많은 일을 하지 못한 것 같아서 고민합니다. 반대로, 스스로 거룩한 바리새인들은 하나님께 큰 일과 많은 일을 하였다고 확신하면서 교만해집니다. 그래서 그들 모두는 신앙생활 속에서 참된 즐거움을 누리지 못합니다.
III. 그러나 하나님의 평가 기준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작은 일에 충성하였는가’ 아니면 ‘작은 일에 불충성하였는가’ 하는 행위 즉 말과 행동의 문제입니다. 여기에서 ‘작은’이라는 말은 ‘아주 사소한’이라는 의미입니다. 자신에게 맡겨진 사소하고 작은 사명을 잘 감당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행위의 기준은 심각한 조건이 아닙니다!
다른 하나는 존재 또는 본질의 문제입니다. ‘착하고 충성된 종인가’ 또는 ‘악하고 게으른 종인가’의 구분입니다. 흑과 백이 구분되듯이 명백하게 둘로 구분되는, 아주 치명적인 조건입니다.
마태복음 23장 27절에서 예수님께서는 ‘화 있을찐저 외식하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이여 회칠한 무덤 같으니 겉으로는 아름답게 보이나 그 안에는 죽은 사람의 뼈와 모든 더러운 것이 가득하도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속이 변화되지 않은 거룩한 말과 행위는 아무 의미가 없다는 말씀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세 가지 질문을 자신에게 던져보아야만 합니다.
첫째 질문은 ‘나는 하나님 보시기에 착한가?’입니다. 착하다는 말은 악하지 않다는 것이며, 하나님의 뜻을 고의적으로 거역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둘째 질문은 ‘나는 하나님께 충성스러운가?’입니다. 충성되다는 말은 게으르지 않다는 것이며, 핑계들 대거나 뒤로 미루거나 불평하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셋째 질문은 ‘나는 하나님의 종인가?’입니다. 하나님의 종이라는 말은 하나님께 순종한다는 것이며, 자기가 주인행세를 하거나 하나님을 도구로 이용하는 태도를 버렸다는 의미입니다.
악하고 게으른 종은 받았던 사명까지도 빼앗깁니다.(28-29절) 그리고 천국 밖으로 내쫓겨, 슬피 울며 이를 가는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30절)
반면에, 착하고 충성된 종은 점점 더 많은 사명을 받고, 더 풍족하게 됩니다.(28-29절)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님의 즐거움에 참예함으로써 즐거운 신앙생활을 하게 됩니다.(21,23절) 기쁨과 감사가 넘치는 삶을 살게 됩니다.
성도 여러분, 무엇을 행할까 고민하기 이전에, 착하고 충성된 종 되기 위해 고민하시길 바랍니다.
그리하여 주님의 무한한 즐거움 속에 참여하면서 기쁨과 감사함으로 하루하루 신앙생활 하는 참된 하나님 자녀 되기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축원 드립니다. 할렐루야!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