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마태복음 21:23~32
(23)예수께서 성전에 들어가 가르치실쌔 대제사장들과 백성의 장로들이 나아와 가로되 네가 무슨 권세로 이런 일을 하느뇨 또 누가 이 권세를 주었느뇨 (24)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나도 한 말을 너희에게 물으리니 너희가 대답하면 나도 무슨 권세로 이런 일을 하는지 이르리라 (25)요한의 세례가 어디로서 왔느냐 하늘로서냐 사람에게로서냐 저희가 서로 의논하여 가로되 만일 하늘로서라 하면 어찌하여 저를 믿지 아니하였느냐 할것이요 (26)만일 사람에게로서라 하면 모든 사람이 요한을 선지자로 여기니 백성이 무섭다 하여 (27)예수께 대답하여 가로되 우리가 알지 못하노라 하니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도 무슨 권세로 이런 일을 하는지 너희에게 이르지 아니하리라 (28)그러나 너희 생각에는 어떠하뇨 한 사람이 두 아들이 있는데 맏아들에게 가서 이르되 얘 오늘 포도원에 가서 일하라 하니 (29)대답하여 가로되 아버지여 가겠소이다 하더니 가지 아니하고 (30)둘째 아들에게 가서 또 이같이 말하니 대답하여 가로되 싫소이다 하더니 그 후에 뉘우치고 갔으니 (31)그 둘 중에 누가 아비의 뜻대로 하였느뇨 가로되 둘째 아들이니이다 예수께서 저희에게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세리들과 창기들이 너희보다 먼저 하나님의 나라에 들어가리라 (32)요한이 의의 도로 너희에게 왔거늘 너희는 저를 믿지 아니하였으되 세리와 창기는 믿었으며 너희는 이것을 보고도 종시 뉘우쳐 믿지 아니하였도다
본문에 있는 예수님의 비유에 포도원이 나오는데, 포도원 주인인 아버지는 자기 자녀에게 이 포도원을 상속물로 물려주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자녀에게 포도원의 일을 시킴으로써 상속의 날을 대비하기를 원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아버지가 두 아들들에게 부탁한 포도원의 일이야말로 축복의 기회가 아니겠습니까? 이러한 아버지의 제안에 대하여 두 아들이 어떤 선택을 하는지는 보여주고 있는데, 그 선택은 바로 그들의 인생관이기도 합니다.
1. 첫째 아들의 인생관(29)
첫째 아들은 말로는 쉽게 동조하는 삶의 태도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 일을 왜 해야하는지에 대한 의도와 목적 그리고 자기 자신의 자아-실체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습니다. 그러기에 정작 중요한, 포도원에 들어가서 일하는 것은 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태도를 가진 사람은 겉으로는 의인인 척 꾸미지만 행함이 없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아들의 태도를 보면서 아버지는 어떤 마음을 갖게 될까요? 아버지의 제안에 대해 쉽게 동조할 때 아버지는 몹시 기뻐하였겠지만, 나중에 포도원에 들어가 일하지 않은 것을 알게 되었을 때에는 “속았다”고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그 마음에 분노가 일어나는 것이 당연합니다. 아버지의 마음에는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큰 상처가 남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선택하실 때 말로는 그럴듯하게 대답하고 나서는 행함에 관심이 없는 대제사장들과 장로들이 이 부류에 속할 것입니다.
어린 조카가 고모 집에 놀러왔습니다. 어른들끼리 이야기하다가 부엌에 들어가 보니 조카가 열심히 뭔가를 먹고 있었습니다. 조카를 불러보니 고모가 냉장고에 잘 보관해 둔 비싼 초콜릿을 야금야금 입에 밀어 넣고 있었습니다. 오랜만에 놀러온 그의 모습에 정말 사랑스러움을 느끼며 "고모한테 한 입만 줄래"했더니 "안 돼"하는 것이었습니다. "야, 한번만" "싫어" 처음에는 장난이었는데 은근히 심술이 났습니다. 그건 내 것인데... "한 입만 주면 고모가 슈퍼에서 많이 사줄게." 고모는 치사하게 유도작전을 폈습니다.
머뭇거리던 조카가 대답하였습니다. "조금만 더 먹고요." 그러더니 그만 자기 입에 다 집어넣고 혀를 내밀어 약올리면서 도망가버렸습니다. 수퍼에는 갈 필요가 없게 되었습니다. 이 때 그 고모는 문득 하나님과 자신의 관계를 생각해 보았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에게 주실 모든 것을 갖고 계시지만, 때로는 그것을 감추시고 나에게 있는 최고의 달콤한 것을 요구하신다. 그때 과연 나는 내 손에 있는 그것을 미련 없이 하나님께 드린 적이 얼마나 있었던가? 지금 내 손에 있는 것이 최고인양 아까워하고 주님께서 채워주심을 잊어버린다. 그때 하나님께서는 얼마나 섭섭하셨을까?"
자신의 모든 것을 주고도 자기 자녀에게 배신당한 부모의 마음, 그것이 바로 하나님 아버지 마음이 아니겠습니까? 하나님의 자녀가 하나님과 약속하고 지키지 않으면, 말만하고 행함이 없으면, 그저 늘 이용하려고만 하면, 하나님의 마음에 상처를 남기게 될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2. 둘째 아들의 인생관(30)
반면에 둘째 아들은 일단 거부합니다. 자기방어의 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버지가 왜 자신에게 일을 시켰는지 그 의도와 목적 그리고 자신의 자아-실체에 관심을 갖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자신의 죄를 깨닫고 행합니다.
이 아들에 대한 아버지 마음은, 처음에 말로 거부할 때에는 실망하고 슬퍼하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나중에 포도원에 들어가 일하였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에는 크게 기뻐하면서 “내 아들”이라고 인정하였을 것입니다. 회개함으로써 하나님 나라에 들어오는 세리와 창기를 위하여 천국에서 잔치가 벌어진다고 주님이 말씀하시지 않았습니까?
어린 조카가 고모 집에 놀러왔습니다. 어른들끼리 이야기하다가 부엌에 들어가 보니 조카가 열심히 뭔가를 먹고 있었습니다. 조카를 불러보니 고모가 냉장고에 잘 보관해 둔 비싼 초콜릿을 야금야금 입에 밀어 넣고 있었습니다. 오랜만에 놀러온 그의 모습에 정말 사랑스러움을 느끼며 "고모한테 한 입만 줄래"했더니 "안 돼"하는 것이었습니다. "야, 한번만" "싫어" 처음에는 장난이었는데 은근히 심술이 났습니다. 그건 내 것인데... "한 입만 주면 고모가 슈퍼에서 많이 사줄게." 고모는 치사하게 유도작전을 폈습니다.
조카는 "싫다니까요. 왜 자꾸 귀찮게 그러세요?"라고 소리지르면서 도망가버렸습니다. 고모는 너무나 어이없고 괘씸하여 씩씩거리며 의자에 앉아 있었습니다. 그런데 조금 후에 고모의 뒤에서 침 묻은 초콜릿을 입에 넣어주는 작은 손이 있었습니다. 그 조카녀석이었습니다. 고모는 속으로 눈물을 닦으면서 수퍼로 달려갔습니다. 더 맛있는 초콜릿을 사기 위하여...
이것이 바로 죄를 지은 후에 깨닫고 돌아온 자녀를 품에 안은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일 것입니다. 더 늦기 전에 하나님께 순종하고 자아-실체를 발견함으로써 죄를 깨닫고 돌이켜 행해야 할 것입니다.
3. 하나님의 마음
비유를 말씀하신 후에 주님이 질문하였습니다. "너희 생각에는 어떠하뇨?" "누가 아비의 뜻대로 하였느뇨?" 둘 중에 하나를 택해야 한다면, 31절 말씀처럼 당연히 둘째 아들일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느 아들을 택하십니까?
그러나 주님의 입장에서 생각해 봅시다. 둘째 아들의 경우에도 아버지 마음에는 지워지지 않는 상처의 흔적이 있을 것입니다. 물론 행함으로 인하여 치유되기는 하였지만, 아버지는 이미 상처를 받았던 것입니다.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진심으로 살피는 자녀라면, 행함으로는 물론지이만, 말로도 순종할 수 있어야 되지 않겠습니까? 그러므로 우리는, 말과 행함으로 순종하는 세 번째 인생관을 생각해 보아야만 합니다. 하나님께 기쁨을 드리고, 우리를 믿음직스럽게 생각하실 수 있도록 말입니다. 이것만이 성숙한 자녀의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야고보서 2:17-20절은 “행함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아브라함은 말로 약속하고 그대로 순종한 본보기의 사람이었습니다.(창세기 15:8-21, 22:1-3) 그리하여 자신이 복을 받을 뿐만 아니라 복의 근원이 되어 믿음의 후손들에게 하나님의 복을 증거 해 주었습니다. 미국의 유명 작가이자 강연자인 수잔 로앤은 ‘행운을 부르는 신비한 습관’(책과길 펴냄)에서 특별한 습관이 성공의 차이를 만든다고 말합니다. 우리도 입으로 순종하는 습관, 행함으로 약속을 지키는 습관을 기릅시다.
성도 여러분, 어떤 자녀가 될 것입니까? 깨닫고 회개하여 행함으로 증명하는 성도 되기를 바랍니다. 이왕이면 행동은 물론, 말로도 하나님께 순종하는 성도 되기를 바랍니다. 그리하여 아브라함이 받은 복을 받아 누리고, 복의 근원되어 하나님께 아름답게 쓰임받는 성도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